2023년도 3인 가족 월 평균 생활비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0AWW/btsC1n3K3uJ/SMIdauzkaiL9jAzreaBiq0/img.jpg)
1. 월평균 생활비 (월평균 총 지출액)
구분 | 세부 항목 | 금액 |
고정 지출 | 통신/관리비, 효도비, 보험료, 자산취득비, 세금 | 118만 원 |
변동 지출 | 식비/생필품비, 외식비, 교육비, 의류/화장품비, 교통/주유비, 의료비, 선물비, 문화비 | 162만 원 |
합계 | 280만 원 |
표1. 지출 항목별 월평균 생활비
2023년 동안 가계부를 썼다. 이를 통해 2023년 동안의 월평균 생활비를 집계할 수 있었다. 참고로 우리는 3인 가족이고 아이는 미취학 아동이다.
표1은 '지출 항목별 월평균 생활비'를 나타낸다. 우리 가계의 월평균 생활비 합계는 280만 원이었다. 고정 지출은 118만 원이었고, 변동 지출은 162만 원이었다.
2021년 | 2022년 | 2023년 | |
고정 지출 | 110만 원 | 97만 원 | 118만 원 |
변동 지출 | 160만 원 | 158만 원 | 162만 원 |
월 평균 생활비 합계 | 270만 원 | 255만 원 | 280만 원 |
표2. 최근 3년간 연도별 월평균 생활비
표2는 '최근 3년간 연도별 월평균 생활비'를 나타낸다. 생활비가 2022년도 대비 9.8% 증가하였다. 2023년도에 '자산취득비' 지출이 증가하였기 때문이었다. 피아노를 새로 샀고, 오래되고 더러워진 소파와 식탁 등을 교체했었다.
2. 연 평균 생활비와 노후 준비 연수
노후 준비 연수=총 자산/연평균 생활비
(* 총 자산에서 거주용 부동산은 제외하였음)
내가 돈을 벌고 모으는 이유 중 하나는 '노후 준비'를 위해서다. '노후 준비 연수'가 '여생 연수'보다 많기를 바란다. '노후 준비 연수'는 '총 자산'을 '연평균 생활비'로 나누면 구할 수 있다.
우리 가계의 2022년도 노후 준비 연수는 a년이었다. 2023년도 노후 준비 연수는 a+1.09년이 되었다. '+1.09년'이라는 수치를 통해 조금씩 나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. 그리고 2024년도에는 조금 더 나은 성적표를 받을 수 있기를 희망해 보았다.
↓ 2021년도 월 평균 생활비
https://ohrosy39.tistory.com/325
3인 가족 기준 월 평균 생활비(월 총지출액), 나에게 경제적 자유란
1. 월 생활비 지출 구분 내용 금액 고정지출 보험료, 세금, 관리비, 통신비, 효도비 110만원 변동지출 식비 및 생필품비, 외식비, 교육비, 교통 및 주유비, 의류 및 화장품비, 의료비, 선물비 160만원
ohrosy39.tistory.com
↓ 2022년도 월 평균 생활비
https://investor39.tistory.com/3
2022년 3인 가족 월평균 생활비, 우리 가족의 노후 준비는?
1. 월평균 생활비 지출 구분 내용(비중 순) 금액 고정지출 통신/관리비, 효도비, 보험료, 자산취득비, 세금 964,878원 변동지출 식비/생필품비, 외식비, 교육비, 의류/화장품비, 교통/주유비, 의료비,
investor39.tistory.com